[그래픽뉴스] 시들해진 '2030 영끌'<br /><br />2030 청년층의 이른바 '영끌' 매수세가 줄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까지 집값 상승을 이끌었던 2030 세대의 주택매수 비중이 2019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는 소식입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전국 주택 매매량 가운데 30대 이하의 주택 매매량은 10만 8,638건으로 전체의 24.1% 비중을 차지했습니다.<br /><br />보시는 것처럼 지난해만 하더라도 30대 이하의 주택 매입 비중이 27.1%에 달했는데 올해는 전년 대비 3.0%포인트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이는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9년 이래 가장 낮은 비중입니다.<br /><br />지역별로 살펴보면 30대 이하의 주택 매입 비중이 전년 대비 가장 큰 폭으로 떨어진 지역은 대전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대전의 30대 이하 주택 매입 비중은 28.5%였는데 올해는 23.6%로 줄었습니다.<br /><br />경기도의 하락 폭도 컸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경기도에 집을 산 30대 이하 비중은 31.7%였지만 올해는 27.5%에 그쳤습니다.<br /><br />또 같은 기간 서울은 32.1%에서 28.0%로 줄어들었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2030세대의 영끌 열풍이 시들해진 가장 큰 이유, 바로 '이자 부담' 때문이겠죠.<br /><br />올해 계속된 기준금리 인상으로 은행권 대출금리 역시 1년 만에 껑충 뛰었는데요.<br /><br />가계대출 연간 이자 부담액이 올해 9월까지 52조 4천억 원을 기록했고 내년 말엔 69조 8천억 원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이를 개별 가구 단위로 환산하면 연간 이자부담액은 올해보다 내년에 약 132만원 늘 것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이 대출 금리 상승세는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미 연방준비은행이 어제 오늘 이틀 동안 연방공개시장위원회, 즉 FOMC 정례회의에 돌입했고 내일 FOMC 성명과 함께 금리 전망치를 담은 점도표를 내놓을 예정인데요.<br /><br />연준은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0.50%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밟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합니다.<br /><br />또한 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 한국은행 역시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내년에도 2030 젊은 층의 주택 매입은 줄어들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#2030 #영끌 #주택매매량 #기준금리 #가계대출 #대출금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